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절하는 법이 생각보다 헷갈리기에..
절의 종류 및 방법, 절할때 공수 손의 위치에 관해 포스팅을 합니다.


1. 절의 종류

: 절의 종류는 3가지로 나뉩니다.

1) 큰절

: 큰절은 자신이 절을 했을 때 답배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에게 하는 절이다.
보통 관 혼 상 제 시에 큰절을 한다.
큰절을 하는 대상은 직계존속, 배우자의 직계존속, 8촌 이내의 방계존속이다. 직계존속이란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등이고, 배우자의 직계존속은 아내의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등이다. 방계존속은 백숙부모, 종조부모 등 부모와 항렬이 같거나 높은 가까운 친척을 말한다.

2) 평절

: 평절은 자신이 절을 하면 답배 또는 평절로 맞절을 해야 하는 웃어른이나 같은 또래 사이에 한다. 즉, 선생님, 연장자,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형수, 시숙, 시누이, 올케, 친구 사이에 하는 절이다

3) 반절

: 반절은 웃어른이 아랫사람의 절에 대해 답배할 때 하는 절이다. 대상은 제자, 친구의 자녀나 자녀의 친구, 남녀 동생, 8촌 이내의 나이차 10년 이내 연장비속(방계비속, 조카 등 항렬이 낮은 친척), 친족이 아닌 16년 이상의 연하자 등이다.


2. 절하는 방법


1) 큰절 하는 법


 가. 남자

(1) 공수(남자는 왼손이 위로가게 포개 잡는 것)하고 어른을 향해 선다.
(2) 공수한 손을 눈 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리면서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는다.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꿇어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는다.
(4)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공수한 손등 가까이에 댄다. 이 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 된다.
(5) 공손함이 드러나도록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펴고, 오른쪽 무릎을 세워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오른쪽 무릎 위를 짚고 일어난다.
(6) 공수한 손을 눈 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린 후 묵례한다.



나. 여자

(1) 공수한 손(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포개 잡는 것)을 들어 어깨 높이 만큼 올리고 시선은 손등을 본다.
(2)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가지런히 꿇은 다음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는다.
(3) 윗몸을 45°쯤 앞으로 굽힌 다음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킨다. 머리를 깊이 숙이지 못하는 이유는 머리 장식 때문이다.
(4)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고 일어나 두 발을 모은 후 올렸던 두 손을 내려 공수한 후 가볍게 묵례한다.


2) 평절 하는 법


가. 남자
 : 큰절과 같은 동작이나 손을 눈 높이로 올리지 않으며, 이마가 손 등에 닿으면 금방 일어나는 차이가 있다.

나. 여자
(1) 공수한 손을 풀어 내린 다음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가지런히 꿇은 다음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는다.
(2) 몸을 앞으로 30°도 정도 숙이면서 손끝을 무릎 선과 나란히 바닥에 댄다.
(3) 잠깐 머물렀다가 윗몸을 일으키며 두 손바닥을 바닥에서 떼며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고 일어난다.
(4) 두 발을 모으고 공수한 다음 가볍게 묵례한다.


3) 반절 하는 법


가. 남자
 :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고 무릎 꿇은 자세에서 머리와 엉덩이까지 등이 수평이 되게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나. 여자
 : 평절을 약식으로 한다. 답배의 대상이 나이가 많이 차이 나면 남녀 모두 앉은 채로 한 손 또는 양손을 바닥을 짚는 것으로 답배한다.

*남자 절하는 영상
http://navercast.naver.com/commonsense/howto/3567

 

절하는 방법

절은 우리 전통의 인사법이다. 현재는 과거에 비해 절을 하는 경우가 줄어들었지만, 어른을 뵙고 예의를 갖춰 인사를 드릴 때나 관혼상제 등의 의식행사에서는 절이 빠질 수 없다. 특히 명절에��

terms.naver.com



* 여자 절하는 영상
http://navercast.naver.com/commonsense/howto/3567

 

절하는 방법

절은 우리 전통의 인사법이다. 현재는 과거에 비해 절을 하는 경우가 줄어들었지만, 어른을 뵙고 예의를 갖춰 인사를 드릴 때나 관혼상제 등의 의식행사에서는 절이 빠질 수 없다. 특히 명절에��

terms.naver.com




3. 공수 (절하기 전 손의 위치)

 

 : 평상시 공수(拱手)는 남자의 경우 왼손이 위로, 여자의 경우 오른손이 위로 가게 한다. 흉사(상례 등)일 때는 공수의 위치가 바뀌어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가게 한다. 제사는 흉사가 아니고, 조상을 받드는 자손이 있어 길사로 본다. 따라서 제사 때의 공수의 위치는 평상시와 같다.

쉽게 말하면 절할때 공수의 위치는?
세배, 제사 때에는 남자는 왼손이 위로 여자는 반대로 올리면 되고

조문 및 상가집을 갔을땐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여자는 반대로 올리면 됩니다.

위 자료는 제가 너무 궁금해거 아래 사이트에서 찾아 보고 보기 쉽게 하여 올립니다.
출처 : http://naver.me/FUAWGb89

 

절하는 방법

절은 우리 전통의 인사법이다. 현재는 과거에 비해 절을 하는 경우가 줄어들었지만, 어른을 뵙고 예의를 갖춰 인사를 드릴 때나 관혼상제 등의 의식행사에서는 절이 빠질 수 없다. 특히 명절에��

m.terms.naver.com

절하는 방법을 저도 배우면서 포스팅을하네요.

다들 이번에 익혀 두셔서 올바른 예절을 갖추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절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 끝. 

728x90
반응형
댓글
반응형